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ESS 없이도 차박 가능한가요? – 내가 실제로 버텨본 최소 셋업 이야기 ESS가 없던 시절에도 차박은 했었다. 물론 지금처럼 여유롭진 않았지만, 나름 그때만의 감성도 있었고, 불편함 속에서도 나름의 셋업이 있었다. 이번 글에서는 ESS 없이 차박 했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장비를 어떻게 써야 했는지, 또 어디까지 가능한지 정리해 본다.🔦 진짜 최소 셋업이 필요했던 시절당시엔 별다른 전력 시스템 없이 그냥 차에서 1박을 해보자는 마음이었다. 스마트폰 충전은 보조배터리 하나면 충분했고, 조명도 배터리식 LED랜턴으로 해결했다. 그 외에는 그냥 자연광, 아니면 어둠과 친해지는 수밖에 없었다.📦 ESS 없이 써봤던 장비 구성보조배터리 2개 (20,000mAh)배터리식 캠핑 랜턴USB 충전 선풍기폴딩 테이블 + 매트 + 이불가스버너 & 간이 조리도구솔직히 이 정도면 1~2박.. 2025. 3. 28.
ESS를 활용해 차량 내부를 스마트 오피스로 만드는 법 차박을 몇 번 해보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여기서 일도 하면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가장 큰 문제는 전기였고, ESS를 쓰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차 안을 오피스처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이번 글에서는 내가 어떻게 ESS를 활용해서 차량 안에 스마트 오피스를 구축했는지, 실제 셋업과 사용 후기까지 정리해 본다.🚐 차량 오피스 셋업의 기본 – 전기부터 확보하기가장 먼저 고민했던 건 전력 확보였다. 노트북, 조명, 포켓 와이파이… 이 세 가지만 있어도 간단한 업무는 가능하지만, 문제는 지속 시간이었다. 차량 배터리로는 몇 시간도 못 버티고, 시동을 계속 걸어둘 수도 없었다. 그래서 선택한 게 ESS(12V 100Ah 리튬인산철) + 600W 인버터 조합이었다.📦 실제 구성 – 이 정도면 충분했다.. 2025. 3. 28.
차박할 때 ESS 연결하면 어떤 느낌일까? – 차량 전기 쓰는 법, 진짜 꿀팁만 정리함 차박을 자주 다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전기’를 고민하게 된다. 차량 배터리만으로는 오래 버티기 어렵고, 캠핑장에 가지 않는 이상 외부 전원을 확보하기도 힘들다. 그래서 나는 직접 ESS(에너지 저장 장치)를 차박에 연결해 봤고, 그 과정에서 얻은 경험과 팁을 이번 글에 전부 담아보려 한다.🔌 시거잭이냐, 인버터 직결이냐 – 연결 방식부터 다르다ESS를 차량에서 활용하려면 차량과의 연결 방식을 먼저 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시거잭 방식: 간단하지만 출력이 낮아 전력 소모가 큰 기기에는 무리.인버터 직결 방식: 전압과 용량에 맞게만 설정하면 더 넓은 범위의 기기 사용 가능.나는 처음엔 시거잭으로만 연결했는데, 노트북 충전 정도까진 괜찮았지만 냉장고, 전기매트는 버티지 못했.. 2025. 3. 27.
ESS vs 캠핑용 파워뱅크 – 실제 써보니 확실히 달랐던 점들 캠핑을 다니다 보면 꼭 한 번은 ‘전기’ 문제에 부딪히게 됩니다. 저는 ESS(에너지 저장 장치)와 파워뱅크를 각각 실제로 써봤고, 이 둘의 차이는 생각보다 확실했습니다. 이번 글에선 캠핑 상황에서 ESS와 파워뱅크의 장단점,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추천하는지 정리해 봤습니다.📦 둘 다 배터리인데 왜 이렇게 다를까?ESS는 모듈형 저장 시스템, 파워뱅크는 일체형 올인원 기기입니다. 구조적으로 ESS는 자유도가 높지만 복잡하고, 파워뱅크는 간편하지만 제약이 있죠.항목ESS (고정형)파워뱅크 (이동형)구성배터리 + 인버터 + 컨트롤러일체형 본체설치 자유도높음 (확장 가능)낮음 (정해진 출력)무게무거움가벼움출력 용량600W~3000W+150W~1500W충전 방식태양광, 풍력, AC주로 AC + 일부 태양광🧭.. 2025. 3. 26.
ESS로 전기포트 돌릴 수 있을까? – 내가 써본 가전 리스트 전부 공개합니다 ESS 설치를 고민하거나 막 설치한 사람들이 가장 먼저 묻는 질문, 바로 이겁니다. “도대체 뭘 얼마나 쓸 수 있는 건가요?” 저도 똑같이 궁금해서 직접 다양한 가전들을 연결해 실험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ESS(12V 100Ah) + 인버터(600W) 조합으로 실제 사용 가능한 가전제품들을 모두 정리해볼게요.🔋 하루 충전량 기준으로 돌릴 수 있는 것들제가 사용한 100Ah 배터리는 하루 평균 800~1000Wh 정도 충전됩니다 (태양광 + 풍력 혼합 기준).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가전기기소비 전력예상 사용 가능 시간LED 조명 (10W)10W80~100시간노트북60W10~12시간미니 냉장고80W8~10시간스마트폰 충전15W50회 이상전기포트600~1000W❌ (불가)⚠️ 전기포트는.. 2025. 3. 26.
ESS 잘 샀는데 인버터가 안 맞는다? – 전압·출력 안 맞아서 생긴 진짜 문제들 ESS를 고르고 나면 끝일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막상 인버터를 연결하니 에러, 알람, 작동 불가…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겪었던 ESS–인버터 호환 문제를 토대로, 전압, 출력, 피크 용량의 중요성과 선택 기준을 공유해 봅니다.🔌 "인버터? 그냥 아무거나 연결하면 되지 않나요?" → 아니요ESS에 인버터를 연결하는 건 단순한 전기 연결 같지만, 기기 간 스펙 불일치가 있으면 전혀 작동하지 않거나, 작동하더라도 수명이 확 줄어듭니다. 특히 풍력·태양광 자가발전 사용자라면 더욱 주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제 경우, 12V 배터리에 24V 인버터를 연결했다가 인버터가 계속 꺼지고 알람이 울리는 바람에 결국 인버터를 바꿨어요. 전압 매칭은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전압 안 .. 2025.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