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ESS 조합으로 2박 3일 차박 실제 후기 – 전기, 날씨, 장비까지 현실 기록 그동안 이론으로만 정리했던 ESS 전력 조합들, 이번엔 실제로 써봤다. 정확히는 12V 100Ah 배터리 + 600W 인버터 조합으로 2박 3일 차박을 다녀왔고, 그 과정에서 전기 사용량, 장비 효율, 예상 못 했던 변수들까지 다 겪었다. 이번 글은 그 실제 기록이다.📍 셋업 구성은 이렇게 준비했다ESS: 리튬인산철 12V 100Ah (실용량 약 960Wh)인버터: 순수 정현파 600W패널: 100W 태양광 패널주요 장비: 노트북, 포터블 냉장고, 저전력 전기장판, 조명, USB 선풍기충전은 하루 평균 800Wh 확보를 목표로 했고, 날씨가 맑다면 그 정도는 들어올 거라 계산했다.☀️ 날씨가 흐리면 계획은 무너진다첫날은 흐림. 충전량 500Wh도 안 들어왔다. 둘째 날은 맑았고, 900Wh까지 회복. .. 2025. 4. 1.
ESS에 딱 맞는 장비 조합 리스트 – 내가 써보고 효율 좋았던 것들만 정리함 ESS를 설치하고 나서 가장 고민됐던 건 ‘어떤 장비를 연결해서 써야 가장 효율적일까?’였다. 처음엔 이것저것 연결해 보다가 충전이 모자라거나, 인버터가 꺼지거나 하면서 점점 ‘진짜 필요한 것만 써야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선 내가 실제로 써보고 효율 좋았던 장비 조합만 추려서 정리해봤다.📦 기본적으로 고려한 조건은 이거였다배터리 기준: 12V 100Ah (약 1200Wh)하루 충전량 기준: 평균 800~1000Wh인버터: 순수정현파 600W사용 시간 기준: 1박 2일 기준 구성이 기준에서 버티는 시간 + 편의성 + 실사용 효율까지 고려해서 조합을 만들어봤다.⚙️ 전력 대비 효율이 가장 좋았던 장비들장비소비 전력이유LED 조명 (10W 이하)10W낮은 전력, 긴 사용시간USB 선풍기5.. 2025. 3. 31.
ESS 전력 소비 테스트 – 어떤 기기가 얼마나 먹는지 전부 측정해봤다 ESS를 설치하고 나면 다들 묻는다. “도대체 뭐까지 돌릴 수 있어요?” 나도 처음엔 막연했는데, 써보면서 궁금한 건 결국 하루 충전량으로 얼마나 쓸 수 있냐였고, 그래서 직접 테스트를 해봤다. 이번 글에서는 ESS 기준으로 내가 실제로 어떤 기기들을 얼마나 사용했는지 정리해 본다.📊 테스트 환경은 이렇게 구성했다ESS: 리튬인산철 12V 100Ah인버터: 순수 정현파 600W충전 방식: 100W 태양광 + 50W 풍력기준 충전량: 평균 800~1000Wh충전량 기준으로 보면 하루 900Wh 정도 확보된다고 봤고, 이걸 기준으로 기기별 사용 시간을 측정했다.⚡ 기기별 소비 전력 & 사용 가능 시간기기소비 전력예상 사용 시간 (900Wh 기준)비고노트북60W12~14시간충전 + 작업 기준포터블 냉장고80.. 2025. 3. 30.
ESS 전력 효율 극대화 실전 팁 – 설치 각도, 충전 타이밍, 배선까지 전부 정리함 ESS를 쓰다 보면 결국은 ‘얼마나 오래, 안정적으로 쓸 수 있냐’가 핵심이 된다. 초기엔 신기해서 이것저것 연결해 보지만, 몇 번만 써봐도 충전 효율이나 출력 손실 같은 문제가 피부로 느껴진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ESS를 제대로, 오래 쓰기 위한 실전 최적화 팁을 정리해본다.📐 태양광 패널 각도? 이거 하나로 효율이 확 달라진다태양광 충전 효율을 높이려면 ‘각도’는 정말 중요하다. 내가 해본 기준으로는, 봄·가을엔 약 35~40도, 여름엔 20~25도, 겨울엔 50도 이상으로 패널을 세워주는 게 가장 효율이 좋았다.여름 – 해가 높게 떠서 패널은 눕혀야 효율이 좋음겨울 – 해가 낮아서 패널은 더 세워야 함패널 방향은 항상 ‘남향’ 기본나는 처음에 평평하게 놓고 충전했는데, 각도 조절해주니까 동일한.. 2025. 3. 28.
ESS vs 파워뱅크 vs 시거잭 – 차박 전력 구성 뭐가 가장 효율적일까? 차박을 오래 하다 보면 누구나 전기에 대해 한 번쯤은 고민하게 된다. ESS가 좋다고는 하지만 가격이 부담되고, 그렇다고 무작정 보조배터리만 들고나가기도 불안하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내가 써본 ESS, 파워뱅크, 시거잭 각각의 전력 시스템을 비교해보려고 한다.🔋 세 가지 방식, 각각 뭐가 다른데?기본적으로 세 가지 방식은 아래처럼 나뉜다.전력 구성전원 소스사용 가능 장비설치 난이도ESS리튬 배터리 + 인버터노트북, 냉장고, 조명 등 대부분중간 (배선 이해 필요)파워뱅크내장 배터리스마트폰, 선풍기, 노트북 (한정적)매우 쉬움시거잭차량 배터리USB 충전기기, 간단한 조명매우 쉬움📦 내가 써보니까 이랬다 – 체감 차이 정리ESS: 자유롭고 전기 걱정 거의 없음. 전기장판도 가능. 대신 가격, 무게 부담.. 2025. 3. 28.
차박인데 ESS는 부담돼? 그럼 내가 쓰는 가성비 전력 셋업 알려줄게 ESS 좋다는 거 알지. 나도 써봤고, 지금도 쓰고 있어. 근데 누군가 처음 차박 시작하는데 갑자기 수십만 원짜리 ESS부터 사라 하면 나라도 고민될 거야. 그래서 ESS 없이도 전기 쓸 수 있는 가성비 셋업을 고민하게 됐고, 실제로 내가 써본 구성도 소개해보려고 해.🔋 보조배터리 + 차량 시거잭 조합 – 이게 은근히 쓸 만하다내가 처음 시도한 건 아주 단순했어. 차량 시거잭에서 USB 포트를 뽑아서 스마트폰 충전하고, 그 외에는 보조배터리로 선풍기, 조명, 간단한 전자기기 돌리는 방식이었지.보조배터리 (20,000mAh급 2개 이상)시거잭용 차량 충전기 (2포트 이상 추천)USB 충전 조명, 선풍기, 스피커 등이 조합은 기본적인 전자기기는 충분히 커버돼. 물론 전기장판이나 전기포트 같은 건 무리고, .. 2025.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