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캠핑카부터 실내 비상 전원까지 – ESS 시스템을 확장해서 써본 후기

by elzkvor3864 님의 블로그 2025. 4. 8.

ESS 전력 시스템이 캠핑카와 실내 환경에서 각각 작동 중인 장면 – 태양광 패널과 인버터, 가전 연결 상태가 보이는 이중 셋업

 

차박을 위한 전력 시스템을 자작으로 만들어 쓴 지 몇 달. 점점 욕심이 생겼다. “이걸 캠핑카에도 달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또 한 가지, “정전됐을 때 집 안에서도 쓸 수 있다면?” 그래서 이번엔 지금까지 썼던 12V 기반 ESS 시스템을 고정형 구조로 확장 적용해서 캠핑카 & 실내에서 테스트해 봤다.

🛠️ 기존 시스템을 고정형으로 확장할 때 고려한 요소

  • ✅ 충전 방식 → 주행충전이 없어도 돼야 함
  • ✅ 출력 방식 → 220V 인버터 + 다중 포트 필요
  • ✅ 공간 → 차량 내부와는 다른 방열 환경
  • ✅ 안전 → 실내 화재 예방 회로, 과전압 차단 필수

이걸 바탕으로 캠핑카용 확장 시스템과 실내용 UPS 구조를 따로 구성했다.

🚐 캠핑카에 설치한 구성

  • ESS: 12V 100Ah (리튬인산철)
  • MPPT 컨트롤러 + 150W 태양광 패널
  • 300W 정현파 인버터 + 듀얼 AC 출력
  • IoT 모니터링 + 블루투스 릴레이

차량 루프에 패널을 고정 설치했고, 내부에 ESS와 인버터를 연결. 차량 시동 없이도 냉장고, 조명, 노트북, 공유기까지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했다.

🏠 실내에서 백업 전원으로 활용한 사례

  • ESS: 12V 60Ah (실내용)
  • 220V 인버터 + 콘센트 모듈 연결
  • 태양광은 제외, 실내 충전만 진행

이건 말 그대로 정전 대비 백업 전원이었다. 일반 5구 멀티탭에 연결해 두고, 정전 시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구성.

🔌 실내에서 테스트한 가전기기별 결과

가전기기 소비 전력 사용 가능 시간
노트북 60W 5시간 이상
와이파이 공유기 10W 24시간 이상
LED 스탠드 5W 30시간 이상
전자레인지 800W ❌ (불가)
소형 IT 기기, 조명, 공유기 정도는 모두 사용 가능. 고출력 조리 기기나 냉온풍기는 여전히 무리였다.

💡 실사용하면서 느낀 캠핑카 vs 실내 차이

  • 캠핑카: 공간 확보 쉬움, 배선도 편함, 통풍 중요
  • 실내: 설치 제약 많음, 소음/발열 신경 써야 함
  • 공통: 전기 소모량을 예상하고 '제한'하는 습관이 가장 중요

📌 결론 – ‘이동형’에서 ‘고정형’으로, ESS는 계속 확장될 수 있다

처음엔 그냥 차박용 전기였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캠핑카로도, 비상용 전원으로도, 태양광 백업으로도 충분히 발전 가능성이 있었다.

중요한 건 배터리 용량이 아니라, 내가 얼마나 계획적으로 전기를 쓰는가였다.

다음 글에서는 이 시스템을 비상재난 대응용으로 실제 구축한 사례도 정리해 볼 예정이야. 👉 이어서 가보자고!